자기 자신을 아끼고 사랑해주는 적절한 자기애는 높은 자아 존중감으로 연결되어, 매사에 긍정적 활력을 불어넣어 일상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사랑이 도를 넘어, 자신이 남들보다 매우 잘났다고 생각하거나, 자신의 의견만이 항상 옳다고 여기는 등 지나치게 자기를 특별하게 생각하여, 남을 지치게 하는 사람은 ‘자기애성 성격장애’ 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자기애성 성격장애란? ‘나르시시스트적 성격장애’라고도 불리는 자기애성 성격장애는, 자신이 최고라고 생각하고, 남들에게 주목받지 못하면 자신을 형편없다고 느끼는 정신과적 질환 ‘성격장애’의 일종입니다.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유병률은 전인구의 1~6% 정도이며,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많이 나타난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자기의 독특함을 높..
갈등을 피하기 위해 억울하고 분한 상황이 있어도 참고 넘겨야 할 때가 많죠. 가슴이 답답하고 분노를 참을 수 없는 상황이 생길 때가 있지만 ‘참으면 복이 온다’ 고, 스스로 위로하며 끓어 오르는 속을 달래는 일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화를 참기만 하고 제때 스트레스와 분노를 해소하지 못하면, 마음은 물론 몸까지 병들어 ‘화병(火病)’이 생길 수 있습니다. 화병이라고 하면 정확한 진단명이라기 보다는, 한국인에게만 나타나는 고유의 증상으로 치부하기 쉬운데요. 화병은 억울하고 분한 감정을 오래 간직하면 발생한다고 하는데요. 이는 감정적으로도 힘들지만 신체 및 정신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오늘은 한국인의 질병 이라고 불리는 화병과 그 해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화병 (hwa-byung, 火病) ..
심리상담치료는 상처받고 지쳐있는 마음치유를 위한 첫 걸음입니다! 날로 치열해지고 각박해져 가는 사회 속의 현대인들은 끊임없이 경쟁심과 위기의식을 느끼며 스트레스와 상처를 받을 때가 많습니다. 특히 과도한 스트레스가 오랜 기간 지속되거나, 쉽게 치유되지 않는 상처를 받을 때면 이를 스스로 감당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죠. 최근 각종 언론이나 미디어를 통해 심리적 질병에 대한 언급이 잦아지며 과거보다 심리치료에 대한 생소함이 많이 줄었다지만, 막상 마음의 치유가 필요한 순간에 심리상담센터의 문을 두드리기란 쉽지 않을 것입니다. 혼자서 견디기에는 너무 힘든 나의 마음을 어디에 가서, 누구에게 털어놓을지, 어떻게 상담하는지 쉽게 가늠이 안되시나요? 심리상담센터 마음소풍은 누구나 부담없이 방문하여 심리 전문가의 도움..
연말연시가 되면 한 해를 마무리하고, 또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기 위해 마음이 바빠지기 마련입니다. 이렇게 신나는 연말 그리고 새해 분위기 때문에 오히려 더 외롭고 슬픈 사람들이 있다고 합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크리스마스와 연말 그리고 연초로 이어지는 짧은 기간 동안 우울함을 많이 느낀다고 호소한다고 하는데요. 이와 같은 증상을 ‘홀리데이 블루’ 또는 ‘연말연시 우울증’이라고 부릅니다. 홀리데이 블루의 원인 겨울이 되면 자연적으로 사람들은 몸이 움츠러 들고 기분도 다운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추운 겨울에는 활동량과 일조량이 감소하면서 계절성 우울장애(SAD)를 경험하기 쉽습니다. 감정을 조절하는 세로토닌, 멜라토닌 등 호르몬들이 햇볕을 자주 쫴야 잘 분비되기 때문인데요. 세로토닌은 낮에 분비되는 행..
일상생활에서 업무나 학업에 집중이 어렵거나 산만함을 느껴 보신 분들이라면 한번쯤 ADHD(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를 의심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집중하기 어렵고 산만함을 느끼는 이유가 ‘공상’ 때문이라면, ADHD가 아닐 수도 있는데요. 또, ADHD 진단을 받은 사람 중 일부는 이 증후군에 의한 증상일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고 합니다. 부적응 백일몽 (Maladaptive Daydreaming) - 공상에 의한 집중력 저하 이 증후군이란 바로 '부적응백일몽(Maladaptive Daydreaming) 증후군'입니다. 부적응백일몽 증후군은 2002년 Eli Somer 박사가 만든 용어로, 과도한 공상에 빠져 인간관계 및 직장〮학업 활동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증후군을..
최근 ‘가스라이팅(Gaslighting)’이라는 단어가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심리 지배’ 라고도 불리는 가스라이팅은 ‘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교묘하게 조직해 판단력을 잃게 만들고, 타인에 대한 통제력이나 지배력을 강화하는 행위’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가스라이팅은 연인관계나 부부관계에서뿐만 아니라 부모-자녀 사이에서 행해지기도 하는데요. 부모가 어떤 의도를 가지고 자녀 정서에 나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악의적 가스라이팅을 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상상하기는 어렵습니다. 또 피해자인 아동이나 청소년 입장에서도 자신에게 잘해주는 부모가 자신을 조종하고 있다는 생각을 갖기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부모-자녀간의 가스라이팅은 부모가 이혼하는 과정에서 자녀에 대한 양육권 분쟁과 관련해..
우리나라의 반려동물 인구는 1500만명으로 추산됩니다. 이는 4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과 함께살아간다는 뜻인데요. 이처럼 최근에는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 수가 늘면서 반려동물이 세상을 떠난 뒤, 이로 인한 정신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방송된 한 프로그램에서 오은영 박사도 반려견을 잃었을 때, 힘들었던 경험담을 이야기하며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는데요. 이처럼 반려동물이 사망한 후에 겪는 상실감 슬픔 등의 정신적 어려움을 ‘펫로스 증후군(pet loss syndrome)’이라고 합니다. 펫로스 증후군은 무엇이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펫로스증후군 (pet loss syndrome)이란? 펫로스 증후군이란 사랑하는 가족 같았던 반려동물이 내 곁을 영영 떠나가게 되..
현대인은 늘 스트레스를 달고 살죠. 이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도 사람마다 제각각 다 다르지만 아마 많은 분들이 스트레스 해소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먹기’ 일겁니다. 스트레스로 인해 먹고 싶은 음식을 배가 부르다 못해 터질 것 같을 때까지 먹고 나면 힘들었던 기억이나 스트레스가 모두 사라지는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런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푸는 건 일시적일 뿐인데요. 스트레스가 쌓일 때마다 과식과 폭식을 반복하고 그로 인한 죄책감으로 인해 구토를 반복하거나 살이 찔까봐 걱정돼 운동에 집착하는 생활이 반복 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을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이라고 합니다. 신경성 폭식증이란? 신경성 폭식증은 음식을 먹고자 하는 욕구와 체형에 대한 엄격함이 서로 충돌을 일으키..
[4K 자연풍경 힐링영상] 제주도 박수기정 부근의 바다 풍경과 잔잔한 파도소리 들판 너머 바다 위에 떠 있는 어선과 간간히 들려오는 어선들의 뱃소리, 들판 위를 날아다니는 나비들이 늦은 오후의 햇살처럼 편안함을 느끼게 합니다. 제주도 박수기정 부근의 바다 풍경과 잔잔한 파도소리 ASMR-창문풍경영상, 힐링영상 마음소풍 영상의 특징 마음소풍의 풍경영상은 자연 그대로의 산과 숲, 바다, 강, 호수, 계곡, 일몰, 일출, 모닥불 등 다양한 주제를 4k 고화질영상으로 촬영하고 있으며, 과도한 컬러 보정 없이 편안히 감상하실 수 있는 영상으로 제작하여 감상하는 동안 지친 몸과 마음의 안정에 도움을 드리는 힐링영상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마음소풍 영상의 특징은 여러분의 머물고 있는 공간에서 가상의 창문과 같이 인테리..
최근 전 여자 펜싱 국가대표 남00씨의 재혼 상대였던 전00씨의 사기행각이 드러나면서 많은 사람들이 충격을 받고 있는데요. 그 동안 전씨는 온갖 방법을 동원해 직업, 가족관계, 재산 심지어 성별까지 속여왔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일각에서는 전씨가 ‘리플리증후군’이 아닐까 하는 의심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리플리증후군이라는 이름은 패트리샤 스미스의 소설 의 주인공 이름에서 유래되었는데요. 소설 속 리플리는 습관처럼 거짓말을 해오다가 결국 자신이 한 거짓말을 현실로 받아들여, 자신이 꾸며놓은 환상 속에서 살아가게 된다는 내용입니다. 이처럼 사소한 거짓말로 시작하여 자신의 모든 것을 거짓으로 포장하고, 자신조차도 그 거짓말이 현실이라고 믿게 되는 '리플리증후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플리 증후..